뷰티 리테일 업계는 쇼핑을 몰입적이고 상호 작용적인 경험으로 바꾸는 경험적 리테일(Experiential retail) 전략을 수용하고 있습니다. 경험적 리테일 마케팅은 단순히 제품을 구매하는 것을 넘어, 활동, 엄선된 공간, 상호 작용 요소를 통해 고객을 더 깊은 감정적 수준으로 끌어들이는 기억에 남는 순간을 만들어 냅니다.
뷰티 팝업 스토어와 플래그십 스토어는 게임화된 경험, 개인화된 활성화, 쇼핑객과 소통할 수 있는 독특한 설정을 제공하는 목적지가 되었습니다. 오프라인과 온라인 뷰티 브랜드 모두에게 이러한 혁신적인 형식은 디지털 중심 세계에서 눈에 띄고 소비자 참여를 강화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경험적 뷰티 리테일의 부상을 이끄는 것
매장 내 채널을 사용하여 경험을 창출하기
경험적 리테일은 브랜드가 소비자와 관계를 맺고 구축하는 데 점점 더 인기 있는 방법이 되었습니다. 소비자가 방대한 양의 제품에 접근할 수 있는 디지털 시대에 브랜드가 소비자의 참여를 유도하고 그들의 마음을 사로잡는 것이 점점 더 어려워졌습니다. 이는 소셜 미디어가 아름다움을 정적인 제품 중심 카테고리에서 라이프스타일로 변화시키고, 코로나19가 온라인을 편리함을 위한 채널로 굳히게 된 것과 함께, 오프라인 매장이 관련성을 유지하기 위해 경험 주도 접근 방식을 채택하게 된 것과도 관련이 있습니다.
따라서 오프라인 쇼핑의 역할은 발견, 연결, 그리고 내러티브 구축의 역할로 변화하였습니다. 구매보다는 재미를 중심으로 한 시나리오 기반의 매장 내 경험을 창출하는 것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이 시나리오에서 매장의 역할은 재미있고, 편안하고, 기억에 남는 경험을 제공하여 궁극적으로 소비자와 감정적인 수준에서 연결되어 브랜드 충성도를 구축하는 것입니다.
몰입형 뷰티 팝업으로 젊은 소비자들에게 어필하기
디지털 네이티브로 성장한 이 젊은 소비자 집단은 온라인과 반대로 시각적인 아름다움과 오감으로 느끼는 오프라인 체험 공간에 이끌립니다. 이는 젊은 소비자들의 구매 습관에도 반영되어 있습니다. 미국 18-24세 소비자 중 76%가 지난 3개월 동안 물리적 형태를 가진 미디어(도서 등)를 구매한 적이 있는 반면, 55세 이상 소비자의 경우 53%에 불과합니다. 이는 젊은 소비자가 완전히 디지털에 의존한다는 통념을 무너뜨립니다. 젊은 소비자들도 이러한 물리적 쇼핑 경험을 온라인 커뮤니티와 콘텐츠를 공유하는 방법으로 즐기며, “피지털(phygital=physical + Digital)” 경험이라는 개념을 활용하고 있습니다. “피지털” 경험은 물리적 영역과 디지털 영역이 혼합된 것으로, 온라인과 오프라인 브랜드의 존재의 연결성과 중요성을 반영합니다.
뷰티 브랜드가 팝업 스토어와 경험적 리테일 매장을 활용하는 방법
온라인을 오프라인 세계로 가져오기
팝업 스토어는 온라인 전용 리테일 업체와 브랜드가 인지도를 높이고 점점 더 경쟁이 치열해지는 카테고리에서 차별화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실제로 영국에 세포라(Sephora)가 진출한 이후, 부츠(Boots)가 매장 내 뷰티 제품 구색을 강화하기도 했습니다.
연말연시 시즌 동안, 뷰티 파이(Beauty Pie), 룩 판타스틱(Look Fantastic), 컬트 뷰티(Cult Beauty)는 런던에서 팝업 스토어를 열어 선물용 제품 구매의 목적지로 자리매김했습니다. Look Fantastic의 팝업은 방문자들에게 The White Company와 소셜 미디어에서 인기 있는 Sol de Janeiro의 제품을 커스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선물에 특별하고 기억에 남는 감동을 더할 수 있게 해줍니다. 크리스마스 쇼핑 시즌에 수준 높은 경험을 제공하면 영국 프레스티지 뷰티 구매자 중 크리스마스에 선물을 구매하는 69%를 끌어들이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독특하고 기억에 남는 경험은 소비자에게 브랜드에 대한 긍정적인 인상을 남기고 경험적 리테일 매장과 팝업의 감성적인 힘을 증명합니다.
새로운 인디 브랜드에 대한 인지도를 구축하기
소셜 미디어와 인플루언서 마케팅 덕분에 소규모 브랜드는 출시 전부터 홍보 효과를 거둘 수 있습니다. 새로운 인디 브랜드는 뷰티 애호가들의 관심을 끌고 소셜 미디어에서 공유를 장려하여 지속적인 참여를 유도하는 기간 한정 팝업으로 계속해서 흥미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10월에 Rhode는 영국에서 한정된 기간 동안 팝업 스토어를 열었는데, 영국에 매장이 없는데도 불구하고 팬들이 몇 시간씩 줄을 서서 방문했습니다. 팝업 스토어의 성공은 젊은 소비자들이 뷰티에 대해 가지고 있는 엄청난 열정을 반영합니다. 영국 Z세대 10명 중 6명 이상이 다른 사람들과 뷰티/그루밍 제품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이 즐겁다는 데 동의합니다.
이렇게 몰입도가 높은 Z세대 고객들은 새로운 경험, 제품, 브랜드를 찾아 헤맬 것입니다. 팝업은 발견의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뷰티 업계의 경험적 리테일의 미래
게임화를 통한 재미있는 참여 유도하기
고급 기술이 매장 내 경험을 변화시키고 뷰티 브랜드에 귀중한 통찰력을 제공하면서 체험형 뷰티가 부상하고 있습니다. 민텔의 트렌드 드라이버 중 ‘경험’에 부합하는 오늘날의 소비자들은 모험심이 강하고 일상생활에서 흥분과 기쁨을 추구합니다. 이러한 진화를 주도하는 핵심 트렌드는 뷰티 팝업의 게임화입니다. 인터랙티브 콘테스트와 챌린지를 통해 재미있고 기억에 남는 경험을 만들어 고객 참여를 촉진합니다.
온라인 리테업체인 컬트 뷰티와 룩 판타스틱은 상금과 함께 두더지 잡기 놀이, 맞춤형 선물을 위한 픽 앤 믹스(Pick-and-mix) 스탠드와 같이 추억을 불러일으키는 리워드 기반 게임을 통해 업계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재미있는 전략은 감정과 향수심리를 자극하여 브랜드를 발견하고 구매하도록 유도합니다.

컬트 뷰티는 팝업 스토어에서 리워드 기반 게임을 개최함으로써 몰입형 마케팅에 집중합니다.
이러한 활성화가 매우 효과적인 이유는 브랜드가 후원하는 상품을 통해 제품을 시식하는 데 초점을 맞추기 때문입니다. 고객이 제품을 직접 사용해 볼 수 있도록 함으로써 브랜드는 신뢰를 쌓고, 입소문을 통한 추천을 촉진하고, 충성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조말론(Jo malone)은 방문객들이 상품을 받을 수 있는 “행운의 휠” 게임을 특징으로 하는 축제용 뷰티 팝업과 유사한 접근 방식을 사용했습니다. 팝업의 인기는 분명했습니다. 손님들은 가상 대기열을 선택하고 45분을 기다렸다가 근처 상점을 둘러보고 좀 더 편안한 경험을 할 수 있었습니다.
AI 기반 도구로 쇼핑 경험 향상하기
제품 스캐너와 같은 AI 기반 도구는 Lush의 코벤트 가든 매장에 있는 혁신적인 ‘Lush Labs Lens’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또 다른 새로운 트렌드입니다. 이 기술을 통해 고객들은 브랜드의 포장 없는 제품(목욕 폭탄, 샴푸 바 등)을 스캔할 수 있으며, 기존의 라벨이나 포장 없이도 자세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지속 가능성과 향상된 쇼핑 경험을 결합하는 매끄러운 방법입니다. 영국 BPC 구매자의 2/5 이상이 매장 내에서 휴대폰을 사용하여 뷰티/그루밍 제품에 대한 추가 정보를 얻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소비자들은 오프라인 매장에서 쇼핑하는 동안 제품 발견 과정을 풍부하게 하기 위해 기술 사용을 기꺼이 수용하고 있습니다.

러쉬의 혁신적인 ‘러쉬 랩스 렌즈’는 고객이 브랜드의 포장 없는 제품을 스캔하여
제품 정보를 볼 수 있는 기술을 사용합니다.
완벽한 몰입형 경험 만들기
완벽한 순간을 연출하는 것은 미래의 경험적 리테일 공간을 형성하며, 고객이 사진을 찍고 소셜 미디어에 공유하고 싶어하는 공간과 제품을 디자인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좋은 예로 딥티크(Diptyque)의 플래그십 스토어를 들 수 있는데, 이 스토어는 향신료, 꽃, 나무, 과일 등 브랜드의 향기 계열을 통해 매혹적인 여정을 제공하면서 전체적인 공간 디자인을 통합했습니다.
그 중에서도 하이라이트는 욕실과 같은 고급스러운 공간에서 몰입감 넘치는 환경 속에서 목욕 및 바디 제품을 선보이는 섹션이었습니다. 이 매장은 또한 예술가 루시 스패로우(Lucy Sparrow)와의 유쾌한 콜라보레이션을 선보였는데, 펠트 소재의 “델리” 아이템과 딥티크의 상징적인 양초를 재현해 공간을 축제 분위기의 식료품점으로 탈바꿈시켰습니다. 그 결과 시각적으로 매력적인 경험이 만들어졌고, 브랜드에 활력을 불어넣었으며, 다른 사람들에게도 영감을 주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딥티크의 플래그십 스토어는 축제 분위기의 식료품점 디스플레이와 같은 전체 공간 디자인을 통해
체험형 소매업을 도입하고 있습니다.
민텔과 함께 경험적 마케팅을 도입하세요.
소비자의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점점 더 몰입감 있는 뷰티 체험을 제공하는 소매업체와 브랜드는 뷰티 애호가들의 마음을 사로잡고 있습니다. 그러나 브랜드가 더 독특하고 기억에 남는 경험을 제공함에 따라, 2025년의 팝업은 협업, 게임화, AI를 통해 차별화될 수 있습니다.
민텔 애널리스트가 제공하는 시장 인사이트를 더 많이 받아보고 싶으신가요? 민텔의 무료 뉴스레터 스포트라이트를 구독하세요!